본문 바로가기

지이노/ReView & Using

Hass.io에 SAMBA 설치하기



Hass.io를 설치하고 SSH Server를 설치했지만 


라즈베리파이 내부에 내가 필요한 파일도 생성하고 다운받은 파일도 옮겨놓고 하려면


아무래도 UI 기반으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렇다고 Hass.io에 UI를 입힐 수는 없으니 내부 폴더를 공유하도록 하자.






1. SAMBA?


우선 SAMBA란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것 같다.


쌈바! 아니다.


춤이 아니니 주의!


삼바[ Samba ]


인트라넷이나 인터넷에서 서버의 파일 및 인쇄기를 사용할 수 있는 프리웨어 프로그램. 리눅스, 유닉스, OpenVMS, OS/2 등 다양한 운영 체계에 설치되는 SMB 및 공통 인터넷 파일 시스템(CIFS)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 기반의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른 컴퓨터에 파일, 인쇄기, 기타 자원의 접근 요구를 할 수 있고, 다른 컴퓨터는 그 요구에 응하여 가부간 응답을 보낸다. 삼바 SMB/CIFS 클라이언트를 smbclient라고 한다.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 삼바 [Samba]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네이버 지식백과를 보면 어느정도 설명이 되어 있다.


지금 Hass.io에 설치하려는 SAMBA 또한 마찬가지이다.


간단히 말하면 리눅스 기반의 Hass.io의 내부 경로를 윈도우즈에서 폴더 형식으로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윈도우즈를 어느정도 사용해보았다면 공유폴더를 사용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윈도우 OS의 PC끼리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고 공유폴더 설정을 해놓았다면


간단하게 \\192.168.xx.xx 를 실행하는 것으로 상대방의 공유폴더에 접속 할 수 있는데


리눅스에서도 이런 편의성을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2. Samba share 설치하기


설치화면으로 넘어가는 부분은 이전에 다뤘기 때문에 생략한다.


[설치] Hass.io에 SSH Server 설치하기


이번에 설치할 것은 SAMBA 이므로 'Samba share'의 페이지를 열도록 하자.



에드온 페이지에 확인해보면 Samba share 라는 항목이 있다.


이번에 추가해야 할 에드온다.


SSH Server 때와 같다.


Hass.io의 매우 만족스런 장점 중 하나가 에드온을 설치하기 매우 간편하다는 것이다.


이번에도 INSTALL 버튼을 눌러 원클릭 설치를 마쳐버린다.


Samba share 에드온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Samba share의 보안등급은 4등급이다.


보안등급에 대한 설명은 기존에 다루었으므로 생략한다.


이 심볼의 이름은 Host Network 이다.


일반적으로 에드온은 격리된 네트워크 계층에서 실행하며 호스트 네트워크에 액세스 할 수 없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네트워크 분리가 서비스 제공의 추가 기능을 제한 할 수 있으므로


에드온의 작성자가 분리를 해제하여 호스트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전체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데


이 권한은 에드온에 더 많은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지만 보안이 낮아지므로 보안등급을 낮추는 영향을 준다.


앱 아머는 기본설정이다.


기존에 다룬 내용이므로 생략한다.




SSH때와는 다른 점이 호스트 네트워크의 추가이다.


SSH Server도 외부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아는데 이게 좀 햇갈린다.


정확한 이유를 모르겠다.


일단은 호스트 네트워크 권한이 부여되었기 때문에 호스트 네트워크의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다고 한다.


어쨌든 자세한 설명은 없으므로 패스.






3. Config


설치를 마쳤으니 기본설정을 해두어야 한다.


에드온이 설치가 간편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뒤 기본 설정은 사용자가 해주어야 한다.


이 부분까지는 자동으로 맞출 수가 없는 것이


사용자마다 사용환경이 다르므로 어쩔수 없으니 양해가 필요하다.



Samba share에서 설정 할 부분은 크게 3가지이다.


username, password, interface


일단 username은 Samba를 사용하여 IP로 접속했을 때 사용할 ID와 같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도우즈에서 다른 PC의 공유폴더를 접속 할 때 해당 PC의 접속 계정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Samba에서도 이와 같은 방식이다.


자신이 쉽게 사용할 username을 큰 따옴표 안에 넣어주자.


password는 위의 내용과 이어지는 비밀번호이다.


접속할 때 사용 할 것이기 때문에 잊어버리지 않을 비밀번호를 큰 따옴표 안에 넣어준다.


interface 부분은 좀 헷갈렸다.


HomeAssistant Samba Page 를 참고해서 입력 했는데


내가 Hass.io를 설치할 때 Wifi 셋팅을 해놓고 실패해서 유선LAN을 사용했는데 이를 잊고 잘못 입력했었다.


무선 LAN(Wifi) 사용자는 wlan0


유선 LAN(Cable) 사용자는 eth0


만약, 정말 만약 Intel NUC를 사용한다면 


무선 LAN(Wifi) 사용자는 wlp5s0


유선 LAN(Cable) 사용자는 enp3s0


를 입력하면 된다.


자신의 타입에 맞게 입력하도록 하자.


나는 유선 LAN 사용자 이므로 eth0 를 입력했다.


혹시 나중에 궁금할까봐 적자면 allow_hosts는 Samba 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호스트 이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 사용자만 사용 할 수 있으며 

기본값을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기 때문에 기본값을 그대로 사용했다.

모든 설정이 완료된 후 SSH Server와 동일하게 위쪽으로 스크롤하여 Start 버튼을 눌러 에드온을 시작해준다.

나중에 설정을 바꾼다면 Restart 버튼으로 재시작하는 것도 잊으면 안된다.





4. Samba 접속

라즈베리파이에 항상 모니터와 키보드/마우스를 연결해두고 사용할 필요도 없고 하고싶지도 않기 때문에

Samba를 사용한다.

설정이 완료 되었으니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PC를 사용해 Hass.io 내부에 접속해보자.

Win + R 키를 누르면 실행 이라는 녀석이 나타난다.


붉은 화살표에 표시한 부분을 잘 보면 알 수 있듯이


Hass.io의 IP를 입력한다.


앞에 \\는 잊지 말고 붙여야 한다.


확인을 누르면 접속을 확인하기 위해 username 과 password를 묻는다.



앞서 설정했던 내용을 그대로 입력한다.


여기서 아래의 '내 자격 증명 기억' 을 체크한 상대로 확인 버튼을 누를 경우


다음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하지 않아도 접속 할 수 있다.


개인이 사용할 PC라면 사용해도 되지만 공용 PC라면 체크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정상적으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Hass.io 내부를 폴더형식으로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편집해야 하는 YAML 파일들은 'config' 폴더에 들어있다.







5. 완료


물론 Samba share도 설치가 완료되면 데시보드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ass.io도 Hassbian을 사용할 때처럼 사용 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Hass.io의 에드온 추가 기능은 너무 편리해서 점점 더 쇼파에 누운 곰탱이가 되는 기분이다.


매우 만족스러운 기분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