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CoRE를 사용하기 전에 Piston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이 Piston이라는 녀석은 webCoRE의 내부 규칙을 뜻한다.
각각의 규칙, Piston이 정해진 동작을 이루고
여러 Piston이 모여 전체적인 자동제어가 될 수 있는 것 이다.
사실 내가 이해한 것을 말로 표현하는 일이 너무 어렵다...
각설하고 바로 Piston을 생성해보자.
[Add a new piston]을 클릭하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팝업된다.
처음에 뭐 이렇게 많아..라고 생각했는데 하나하나 정리를 해 보겠다.
ㅁ. Create a blank piston
빈 피스톤을 생성하겠다는 소리다.
이게 바로 가장 기초적인 버튼이다.
아무것도 없는 빈 피스톤을 생성해서 내가 규칙을 직접 만들어 나가는 것 이다.
ㅁ. Create a duplicate piston
피스톤을 하나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 만들려는 피스톤이
먼저 만들어 놓은 A라는 피스톤과 거의 비슷하다.
그렇다면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존에 있는 피스톤을 똑같이 복사해서 이름만 다르게 만들어 낼 수 있다.
ㅁ. Create a piston from a template
이 버튼은 지금으로썬 쓸모가 없다.
템플릿에서 피스톤을 가저오도록 하는 것인데
Wiki에 따르면 현재 템플릿이 없어서 구현되지 않은 기능이라고 한다.
추후에 구현되었을 때 다시 다루도록 한다.
ㅁ. Restore a piston using a backup code
웹서핑 중에 다른사람이 작성한 피스톤 스크린샷을 본적이 있다면
그 안에 이상한 코드 같은 것을 보았을 수도 있겠다.
그 코드 보안코드 같은거 아니다. Backup Bin Code라고 하는데
이 기능을 사용해서 해당 코드를 입력하면 그 피스톤을 똑같이 복사해준다.
난 아직 동작에 책임을 질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코드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ㅁ. Import a piston from an external source
이 기능은 사실 잘 모른다.
피스톤을 백업할 수 있는데 그 백업된 피스톤을 가져오는 기능이라고는 하던데
내가 백업기능을 사용해보지 않았다.
이번에는 빈 피스톤을 생성해보도록 하자.
이 글에는 빈 피스톤을 생성하는 글만 적을 것 이다.
다른 기능들은 딱히 쓸모도 없을 뿐더러 눌러보면 바로 알게 되어 있다.
템플릿을 제외한다면 말이다...
ㅁ. Author : 피스톤을 만드는 사람의 이름을 적는 곳이다.
ㅁ. Piston name : 생성할 피스톤의 이름을 적는 곳이다.
ㅁ. Disclaimer : 백업기능의 사용여부를 체크하도록 되어 있다.
참고로 작성자명이나 피스톤명에 한글이 들어갈 수 있다.
피스톤을 생성하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제부터 이 화면에서 원하는 동작을 만들어 내면 된다.
-피스톤 만들기 끝.
'지이노 > ReView & U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지텍 하모니 허브 (Harmony Hub) 설치하기 (0) | 2017.09.23 |
---|---|
SmartThings - webCoRE - 편집화면 알아보기 (0) | 2017.09.22 |
SmartThings - WebCoRE (0) | 2017.09.22 |
삼성 스마트싱스 (SmartThings) 설치하기 (0) | 2017.09.22 |
[계통도] 2017.09.19 (0) | 2017.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