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말하지만 Mi Air2(이하 미에어)는 구매한지 너무 오래되었다.
거의 중국 발매 당시 직구로 구매한 제품인데 나와는 꽤 오랫동안 함께 한 친구이다.
당시 국내 IOT는 새싹 수준이었고 아무도 관심이 없는 시절이었는데
기관지가 안 좋은 나에게 필요한 듯 하여 구매하게 되었다.
어플로 외부에서도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퇴근할 때 켜놓고 집에 들어가면 되겠다 싶어서 구매했다.
한참 발뮤다가 유행이었는데 디자인은 거기서 훔쳤나 보더라.
사회 초년생이었던 나에게 발뮤다는 너무 비싼 물건이었고 샤오미가 딱 이었다.
뭐 어찌어찌 지금까지 써왔는데 올 초부터 HA에 연동해서 잘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포스트는 오래 지난 이야기를 지금에 와서야 풀어 쓰는 것 이므로 사진이 부족 할 수 있다.
라는 말을 장황하게 해보았다.
1. Mi Air2
(예전에 계통도 작성용으로 캡처한 이미지 내것이 아님)
미에어2는 2015년 11월에 미에어 1세대에 힘입어 출시 된 샤오미 공식 두 번째 공기청정기이다.
가로/세로 240mm 높이 520mm 의 크기를 가졌으며 1세대보다 작아졌다.
작아진 만큼 팬도 하나 날라가 버리고 커버범위도 39㎡로 줄었다. (1세대는 48㎡)
원룸이나 침실에서나 쓸 정도의 용량으로 줄어버렸지만 기존의 먼지센서 외에 온도센서가 추가되었다.
다만 먼지센서가 중국제로 바뀌면서 성능문제에 대한 이슈가 조금 있었다.
나야 당연히 혼자 살 때이고 원룸에 살 때 이니 작고 조용할 거라 생각한 미에어2를 샀지만
지금 산다면 안산다.
덕분에 서재방에서 열일하고 있다.
2. HA 연동하기
미에어 시리즈는 HA에서 공식지원을 하고 있는 기종이다.
https://www.home-assistant.io/components/fan.xiaomi_miio/
공식 컴포넌트가 있는 만큼 연동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아, 한 가지만 빼고.
귀찮게도 토큰 값을 알아내야 한다.
이전 포스트에 샤오미 토큰 값을 추출하는 방법을 적은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Xiaomi(샤오미) 장치 Token(토큰) 얻기 - 루팅 안드로이드
이제 얻어온 토큰 값으로 HA와의 연동을 시작한다.
Configuration.yaml 파일을 열어본다.
fan:
- platform: xiaomi_miio
name: YOUR_DEVICE_NAME
host: YOUR_DEVICE_IP
token: YOUR_DEVICE_TOKEN
미에어는 HA에서 FAN으로 구분된다.
이럴 때에는 configuration.yaml 파일에 적어도 되지만 include 기능을 사용하여 따로 파일을 만들어도 된다.
platform은 HA의 컴포넌트 중 xiaomi_miio 를 사용한다.
그 밑으로 name은 장비에게 부여할 이름
host는 장비의 현재 IP
token은 앞서 확인한 장비의 현재 token 이다.
각각 적어주면 모든 준비가 완료된다.
틀린부분이 없는지, 들여쓰기는 정확한지 확인 한 후 HA를 재시작하자.
3. HA확인
HA가 재시작되고 정상적으로 등록이 완료 되었다면 위 처럼 장비가 표시된다.
현재 정지상태로 있기 때문에 스위치도 off 이고 이미지의 색도 위와 같다.
이 상태로 오른쪽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으로 원격 조작이 가능한데
우선 연결이 정상인지 테스트 하기 위해 조작해보자
매우 깔끔하게 조작된다.
반응속도도 꽤 빠르기 때문에 답답할 일이 전혀 없다.
미에어는 전용어플을 사용해보면 알겠지만 on/off 말고도 여러가지 정보 및 모드가 존재한다.
미에어를 on/off 만 할 거였으면 HA에 연동하지도 않았다.
장비의 이름을 클릭 혹은 터치 하면 아래와 같은 상세 페이지가 나온다.
오른쪽의 스크롤을 보면 알 수 있 듯이 엄청 많은 정보가 기입된다.
가장 위의 Speed라고 되어 있는 콤보박스는 미에어의 모드를 설정 할 수 있다.
중요한 정보만 간략히 설명하자면
Speed : 모드 선택
temperature : 온도
humidity : 습도
aqi : 미세먼지
mode : 현재모드
filter hours used : 필터 사용시간
filter life remaining : 필터 수명
더 많은 데이터가 있지만 전부 필요하진 않다.
어차피 미에어에게 바라는 자동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는 위의 데이터가 거의 대부분일 것이기 때문에...
잘 보면 알겠지만 필터의 수명까지 체크 할 수 있기 때문에 Mihome 앱이 전혀 필요가 없어진다.
4. 마치며
미에어의 HA 연결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쳤다.
사실 미에어 몇 대 더 사서 온 집안에 도배하고 싶은데
와이프가 엣모스피어 스카이를 사는 바람에 더 이상의 증식은 불가능 할 듯 하다.
아쉽지만 엣모스피어 스카이의 데이터를 훔치는 방법을 알아봐야 한다.
다음에 미에어의 자동화 방안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기약하고 글을 마친다.
'지이노 > ReView & U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meAssistant로 Xiaomi(샤오미) MiAir2(공기청정기) 자동화 (9) | 2018.12.11 |
---|---|
HomeAssistant에 Xiaomi(샤오미) Zigbee(지그비) Soket(소켓/플러그) 연결하기 (2) | 2018.12.10 |
Xiaomi(샤오미) 장치 Token(토큰) 얻기 - 루팅 안드로이드 (4) | 2018.12.08 |
Let's Go Pikachu,/EEVEE (렛츠고 피카츄/이브이) (0) | 2018.12.07 |
HomeAssistant로 로지텍 하모니 허브 (Harmony Hub) 제어하기 (0) | 2018.12.06 |